• 홍보센터
  • 언론속의 운암

언론속의 운암

게시판 내용
[경남우리신문]승려에서 임시정부 요인으로 운암 김성숙선생
관리자
조회수 : 1802   |   2008-03-30


▲ 승려에서 임시정부 요인이 된 운암 김성숙선생 ○ 일제의 침략 수뇌 암살 단체인 의열단 선전부장으로 활약 ○ 재중국조선청년동맹과 조선민족해방동맹을 조직 ○ 임시정부 내무차장 및 국무위원으로 활동 평안북도 철산군(鐵山郡) 서림면(西林面) 강암동(江岩洞)에서 출생하고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같은 승려인 이순재(李淳載) 김석로(金錫魯) 강완수(姜完洙) 등과 함께 비밀리에 독립문서를 만들어 일반 대중에게 살포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조선독립군(朝鮮獨立軍) 임시사무소(臨時事務所)라는 명의로 동료들과 함께 격문을 만들었다. 이 독립문서의 살포사건으로 그는 동지들과 함께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1919년 9월 11일 그는 고등법원에서 징역 6월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한 그는 봉선사로 잠시 되돌아갔으나 곧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독립정신을 고취하였다. 그는 1920년에 일제가 문화정치(文化政治)를 표방하는 계기를 이용하여 조직된 합법적 단체인 무산자동맹(無産者同盟) 노동공제회(勞動共濟會)에 참석하였다. 노동공제회에서의 그는 충북 괴산(槐山)에서 일어난 소작쟁의(小作爭議)의 진상을 서울의 본회 및 각 지방의 지회(支會)에 알리는 등 적극적 항일민족운동을 전개했다. 국내에서 조국광복운동에 진력을 다하던 그는 1923년에는 불교 유학생으로 중국의 북경(北京)으로 건너갔으며, 여기서 3.1독립운동이 일어나던 해에 결성된 조선의열단(朝鮮義烈團)에 가맹하였다. 조선총독(朝鮮總督) 등 일제의 고관(高官) 친일파 거두 매국노(賣國奴) 등을 암살대상으로 하고,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東洋拓殖會社) 경찰서(警察署) 매일신보사(每日申報社) 등 일제 중요기관을 파괴대상으로 삼은 조선의열단에서 그는 승려신문을 벗어나 선전부장(宣傳部長)으로서 활동했다. 중국 북경에서 광동(廣東) 지역으로 옮아간 그는 1928년에 중국 전역의 한국인 청년들을 모아 재중국조선청년총연맹(在中國朝鮮靑年總聯盟)을 조직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한국인 청년들에게 조국광복을 위한 항일운동을 전개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북경 광동 등지를 다니며 무력적인 행동으로서만 조국광복을 위한 항일투쟁을 할 수 있다며 적극적인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한편 1937년 북경 교외의 노구교(蘆溝橋)에서 중 일 양군이 충돌하는 이른바 노구교사건이 발생하게 되었을 때, 그는 현정경(玄正卿) 박건웅(朴建雄) 등과 함께 조선민족해방동맹(朝鮮民族解放同盟)을 결성했다. 그는 같은 해 7월에는 조선민족해방동맹을 비롯한 좌익진영의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 조선민족투쟁동맹(朝鮮民族鬪爭同盟) 조선혁명자동맹(朝鮮革命者同盟)을 연결하여 조선민족전선연맹(朝鮮民族戰線聯盟)을 조직하여 선전부장(宣傳部長)으로 활동했다. 이듬해 광복진영(光復陣營)의 9개 단체는 광복군에 편입되고, 그가 참여하였던 민족전선(民族戰線)의 네 단체는 조선민족의용대(朝鮮民族義勇隊)를 조성하여 간부로 활동하던 중 1942년에는 임시정부의 내무차장(內務次長)이 되었다. 이듬해 2월에는 박찬익(朴贊翊) 최동오(崔東旿) 유 림(柳林)과 함께 그는 임시정부 외무부의 외교연구위원회(外交硏究委員會) 위원으로 임명되어 임시정부의 대열강 외교활동(對列强外交活動) 및 외교전반에 관한 문제를 연구했다. 한편 1943년 4월부터 임시정부내에는 새로 대한민국 잠행관제(暫行官制)가 실시됨과 함께 행정부의 한 부처로 선전부(宣傳部)가 설치되었다. 이 선전부에는 총무, 편집, 발행의 3과(課)와 함께 선전위원회가 설치되어 대한민국에 관한 일체의 선전사업과 각종 선전지도를 총괄하여 행하도록 하였다. 이에 그는 조소앙(趙素昻) 신익희(申翼熙) 등 14명과 함께 선전계획의 수립, 선전진행 방침에 관한 사항 등을 의결하는 선전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임시정부의 국무위원으로 활동하던 그는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연합군에 대한 무조건 항복으로 같은 해 11월 5일 다른 임정요인(臨政要人)들과 함께 중경(重慶)의 임시정부 청사를 철수하여 상해로 향했다. 12월 1일에는 같은 임시정부 요인이었던 홍 진(洪震)·조성환(曺成煥)·신익희·조소앙 등 13명과 이계현(李啓賢)·서상열(徐相烈) 외 9명을 포함한 23명이 상해를 출발 군산(群山) 비행장에 도착하였고 이튿날인 2일에는 서울로 들어왔다. 광복 후에는 혁신정당을 조직하여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1969년에 별세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8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입력 : 2008년 03월 30일 12:25:41 이진화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file0 File #1   |   img.jpg81.jpg
게시판 이전/다음글
이전글 [독립기념관]2008년 4월의 독립운동가 운암 김성숙 선생
다음글 [매일경제]"4월 독립운동가"에 김성숙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