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보센터
  • 공지사항

공지사항

게시판 내용
2월의 독립운동가 한상렬(韓相烈)선생
관리자
조회수 : 1882   |   2013-01-31


2월의 독립운동가 한상렬(韓相烈)선생
(1876. 4. 2 ~ 1926. 9. 19)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한상렬 선생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31일(목) 밝혔다.

선생은 대한제국군 강제해산 후 횡성에서 의병을 조직, 민긍호 의진 등과 연합의진을 형성하여 의병전쟁을 전개하였으며, 만주 망명 후 독립군 참모로 보급품 확보 등의 중책을 맡아 활동하다 순국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의 국권침탈이 본격화 되어 만국평화회의에 헤이그밀사를 파견한 광무 황제의 책임을 물어 강제로 퇴위시킨 후 정미 7조약을 체결하여 대한제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1907년 서울의 시위대를 시작으로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이 본격화되자 제1연대 1대대 대장 박승환 참령은 자결로 항거하였으며, 이는 시위대 대원들에 이어 지방진위대의 봉기로 확산되었고, 의병봉기의 도화선이 되어 후기의병이 들불처럼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강원도 지역에서는 원주진위대가 가장 먼저 봉기하였고 그 중심에 민긍호 의병장이 있었다. 한상열 선생은 고향인 강원도 횡성에서 거의하여 지역민을 중심으로 의진을 형성하였다. 선생은 민긍호 의병장과 연합작전을 수행하면서도 약 200명의 부대원을 이끌고 독자적인 활동도 전개하였다.

일본군의 의병진압이 본격적으로 일어나자 선생은 근거지인 횡성을 중심으로 그 주변인 홍천,원주산간지역에서 의병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일본군 특별편성부대의 배치와 의병에 대한 정찰이 강화되자 선생은 민긍호 의병장과 함께 충주성 공격을 감행하여 일본군에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일본군의 탄압이 본격화되고, 민긍호 의병장마저 일본군에 체포되어 순국하자 의병활동은 급격히 위축되고 말았다.

이에 만주지역으로 활동무대를 옮긴 선생은 이범윤, 유인석 등이 조직한 성명회에서 활동하였고, 1915년 창의소를 조직하고 중대장이 되어 경흥지역 일본군 습격 등을 계획하였다. 이후 홍범도가 조직한 대한독립군에 들어가 보급품 확보 및 선전활동, 독립군 소모활동에 투입되었고, 무장단체에서 계속적으로 활동하여 대한군정부에서는 방화대 제2부장을 역임하는 등 만주, 연해주 일대에서 본격적인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선생은 만주지역 독립군 단체들이 다시 조직되고 재편되는 과정에서 김좌진 장군을 보좌하였다. 선생은 김좌진 장군이 설립한 성동무관학교 내 조직인 동우회에서 선전계, 군자금모금계장으로 있으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고, 중동선 대표로 북만주에서 의용군이 생길 때 참여하였다.

선생은 의병장으로 강원도 횡성, 홍천 일대에서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만주지역에서는 주로 보금품 확보, 선전활동, 군자금 모집 등 중책을 맡아 활동하였고, 상황에 따라 재편되는 독립군 조직에도 꾸준히 참여하였다.

그러나 선생의 독립군 활동은 1926년 9월 19일 민족진영의 분열을 책동하던 세력의 흉탄에 순국하면서 막을 내리게 되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로를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file0 File #1   |   222221.jpg
게시판 이전/다음글
이전글 「운암임시정부기념관 건립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 립」용역입찰공고
다음글 [입찰결과공고]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